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 중 가장 잘 한 것이 특성화고(전문계고) 육성이라는 평가가 있다. 특성화고의 고유 기능을 되돌려놓은 전환점이 됐다는 것이다.특성화고는 대학진학보다는 취업을 위한 학교다. 그런데 2000년대 초부터 취업률보다 대학진학률이 높아져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당시 특성화고는 신입생 충원이 어려워지자 4년제 대학에 3~5% 정도의 ‘실업계고 특별전형’을 정부에 요구했고 이것이 받아들여진데다 전문대가 특성화고 출신을 주요 입학자원으로 하면서 특성화고에는 취업보다 진학을 위한 목적으로 학생들이 더 많이 지원했다. 이는 학벌위주의 사회풍토를 더욱 부추긴 결과를 낳았다.이런 현상이 이명박 정부때부터 바뀌어 특성화고의 취업률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2009년 전국 특성화고의 취업률이 평균 16.7%이던 것이 2013학년도에는 35.4%로 올라갔다. 반면 진학률은 73.5%에서 47.4%로 낮아졌다. 마이스터고의 경우 거의 100% 취업률을 달성하고 있고, 일부 특성화고는 매년 양질의 직장에 고액의 취업자들을 내면서 취업명문고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다. 이제야 특성화고가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현정부 들어서면서 이런 분위기가 다시 바뀌고 있다. 마이스터고의 경쟁률이 떨어지고 있고 전국의 특성화고들에서 신입생 모집 미달사태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 때는 고졸 취업을 장려하는 사회적 분위기로 특성화고가 인기를 끌었지만 이번 정부들어 특성화고에 대한 정책 지원이 뒷받침되지 않고 있는 것이 큰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성화고는 적성에 맞춘 고졸 수준의 직업기초교육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루고 학벌보다 능력 위주의 사회를 조성하는 데 존재이유가 있다. 대학 졸업생들의 취업난이 날로 심해지는 상황에서 특성화고 활성화는 우리 사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정부와 교육당국은 특성화고 인기 하락에 대한 정확한 원인 분석과 함께 내실 있는 취업 확대 정책을 적극 펼쳐야 할 것이다. 이참에 특성화고 졸업생들의 취업유지 실태에 대한 세밀한 조사도 있어야 한다. 부산에선 특성화고 졸업자의 46.4%가 중도 퇴사했다는 조사결과가 있었다. 중도 퇴사 이유 중 ‘대학입학을 위해서’가 73.3%로 가장 많았다. 우리 지역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본다. 이런 현상은 아직도 학벌위주의 풍토가 뿌리깊은 탓이기도 하지만, 특성화고 역시 취업률에 급급해 국가기술자격 취득 등 실적 위주의 교육에 치중하면서 학생들이 사회 진출 뒤 우리 산업사회의 현실과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지혜에 대한 교육에 소홀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학벌위주에서 능력위주의 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정부와 지역교육당국의 관심이 절실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