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 농특산물 직거래장터의 지난해 매출이 전년보다 23% 늘어 108억원을 기록했다고 한다.경북도는 유통단계를 줄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바로 만나는 장소를 확대해왔다. 지난해 인구밀집지인 대구, 포항, 구미 5곳에 매주 개장하는 정례 직거래 장터를 운영했다. 또 대구백화점 등의 대도시 백화점에서 특판전을 열고 지역의 축제 장소에 직거래 장터를 개장했다.특히 구미시 금오산 공영주차장에서 운영한 ‘구미 금요장터’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한 2013 농산물 직거래 콘테스트에서 장터부문 금상을 수상하면서 전국 최고 직거래 장터로 이름을 올렸다.경북도는 직거래 장터 외에도 꾸러미사업장 11곳, 친환경 직매장 1곳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대구시내의 친환경 직매장에서는 월평균 매출이 6천만원으로 도시 소비자의 인기를 끌고 있다.직거래 형태는 다양해 경북도는 지난 해 청도에 소위 ‘산지형 직매장’이란 것도 만들었다. 이것이 인기를 얻자 올해는 경산과 칠곡에도 추가로 직매장을 개장한다고 한다. 소비자들이 산지에 와서 체험도 하고 농산물을 구입하는 시스템이다.이같은 직거래장터, 직매장, 꾸러미 사업 등은 모두 직거래의 다른 형태다. 도시의 소비자들이 직거래를 선호하는 것은 이유는 두 가지다. 저렴하다는 것과 안전에 대한 신뢰가 높다는 것이다.농산물의 가격을 저렴하게 하는 것은 유통단계를 줄이는 물리적인 정책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문제는 농산물의 안전성이다. 아무리 경북도와 시·군이 품질을 보증한다고 하지만 생산자의 양심까지 보장하기는 힘들다. 원산지가 불명확하다거나, 품질이 고르지 않거나, 친환경 생산 등에 대한 신뢰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이 사업은 성공을 할 수가 없다. 소비자가 모르고 상한 제품을 구입했을 경우의 환불 및 교환 등에 대한 신뢰 마케팅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이 사업에는 더 큰 의미가 있다. 도시와 농촌간의 상생을 위한 한 방법이 된다는 것이다. 소비자는 단지 값싸고 친환경적인 농산물을 구입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매장에서 농민들을 만남으로써 작게나마 농촌을 이해하게 된다. 그러나 문제가 있다. 경북도가 직거래장을 확대할 경우 도시의 영세 농산물 소매상과 유통업자들에게 타격이 갈 수 있다는 것이다. 경북도가 직거래장의 개설에서부터 운영비까지 지원하는 직거래 매장과 도시 영세민들이 비싼 보증금과 월세를 내가며 운영하는 농산물 가게는 애초부터 경쟁이 되지 않는다. 농민을 살리려는 정책이 자칫 도시의 영세상인을 죽이는 결과가 충분히 예상된다. 경북도는 이런 점을 신중히 생각해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지역의 각 대학들이 거대한 자본을 가지고 학생들의 장학금을 주기 위해 수익사업을 할 수 있는데도 자제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