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 권에는 포항53만, 경주27만, 경산25만5천, 영천10만2천, 청도4만, 울릉1만1천, 울진,영덕 등 150만여 명의 도민이 살고 있는 인구밀집지역이다. 다시 말하자면 이 거대 인구가 민원을 위해 경북도청인 안동지역을 방문해야 한다는 점이다. 왕복 3∼6시간이 소요된다는 점 외에도 경제적 피해는 산정을 못 할 정도로 심각하다. 초스피드 시대에 이 같은 시간소요는 행정의 경쟁력은 말할 것도 없고 지역전체의 경쟁력은 물론 지역전체의 경쟁력을 좀먹는 요인이 된다. 경주는 연간 1천500만 명 이상의 내외국인 관광객이 찾는 명실상부한 국제관광도시이다. 따라서 경주시는 물론 경북도가 지금까지 수백억 원의 예산을 들여 세계를 향해 경주를 홍보하고 있으며 경주세계문화엑스포를 통해 직접외국관광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경북도 뿐 만아니라 전국도시들 중 경주만큼 세계적인 지명도를 가진 도시는 드물다. 경주에는 4년제 대학이 3곳, 전문대학 1곳이 이미 존재한다. 도청소재지가 갖지 못하는 지식산업과 풍부한 우수 인적자원은 행정의 고급화 세계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2000년 역사도시 경주는 우리나라 최초의 통일 국가로 한민족의 뿌리를 내리는 계기를 마련한 원조이다. 더구나 경주는 한나라의 수도로 1천여 년을 이어 옴으로서 세계에도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역사성과 상징성을 가진다. 특히 서라벌을 중심으로 정립된 호국화랑정신은 국란이 있을 때 마다 나라를 지키는 원동력이 됐고 화백제도는 오늘날 민주주의와 그 맥락을 같이 해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정신적 지주가 되고 있다. 경주는 지난 1963년 문화재보호법 재정이후 50여 년간 문화재 보호로 인한 각종 재산적 피해를 입어 왔다. 최근에는 세계문화유산 등재로 인한 시가지 지역전체가 고도제한에 묶에는 등 엄청난 피해를 입고 있다. 이는 국가적인 문화재를 경주시민들의 희생만으로 지켜온 결과이며 그 정도는 더욱 커지리라 여겨진다. 특히 문화재의 경우 향후에도 보존과 복원 등 산적한 문제가 남아 있으며 앞으로의 정책 수행과정에도 국가 또는 광역자치단체가 부담해야 하는 예산과 업무가 폭증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원전과 방폐장과 관련한 도 차원의 업무도 엄청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경북도청이전 문제가 진통을 겪었듯 제2청사 건립 문제도 논란이 일 것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동남부권 150만 주민의 편의를 외면할 수 없는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이 문제의 결정권은 경북도의회가 가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정치를 행하는 이유가 바로 주민편의와 복리이다. 사실 경북도청의 안동 이전은 수적으로 월등한 동남권의 현실을 무시한 처사로서 당시 박수부대 도의원들은 제2청사 관철로 동남권 주민들과 화해를 해야 한다. 경주를 빼고 경북을 이야기 할 수 없다. 자칫 머뭇거리다가 경상동도 분리주장이 제기될지도 모른다. 민의를 제대로 읽지 못한다면 언제든지 수면위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다. 어쨌든 정치와 민의는 살아 움직이는 생물과 같다. 6,4지방 선거에 출마한 광역단체장과 광역의원 후보들이여, 제2청사가 동남권의 절박한 현안임을 명심 하고 공약으로 내걸어야 한다. 김성수 경주발전연구원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