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은 늘 불안하다. 학교폭력의 외상에 관한 기억이 자꾸 떠올라 고통스럽고, 그와 관련된 악몽에 시달리기도 한다. 사소한 일에도 심하게 놀라고, 항상 불안해하며, 심지어 위험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막연한 불안감을 느낀다고 한다. 그런데도 그들은 학교폭력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해결책을 포기한 채 ‘학습된 무기력감’에 빠져있기 때문이다. 학교폭력 문제가 해결될 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하기에 우울함과 절망감을 넘어 무기력감에 빠지게 된 것이다. 학교폭력의 문제는 정녕 해결하기 힘든 것일까? 2011년, 정부는“학교폭력은 학교에만 맡겨둘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며‘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사회 구성원이 각자의 입장에서 학교폭력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이렇듯 학교폭력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경찰에서는 작년에 학교전담경찰관을 증원하고 등·하교 시간대에 경찰력을 집중 배치하는 등 학교폭력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경찰 제복을 입은 경찰관을 학교 내·외에 배치하는 것은 범죄 취약장소를 순찰하고 잠재적 범죄 행위를 심리적으로 압박해 학교폭력을 예방하고자 하는 취지다. 하지만 이러한 경찰력 행사만으로는 학교폭력을 근절할 수 없다. 교육당국과 경찰 그리고 사회 구성원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광주에 한 학교에서는 등교시간 연출되는 색다른 풍경은 학생들도부터 눈길을 끌었다. 이 학교 교장은 매일 아침 교문 앞에서 등교하는 학생들에게 인자한 웃음과 함께 일일이 손바닥을 마주치며“사랑한다”는 인사를 건넨다. 별것 아닌 행동으로 볼 수 있으나 가정불화나 결손가정으로 관심과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라는 아이들에게는 큰 힘이 될 수 있다. 학교폭력 가해학생 상당수가 사회와 가정에서 소외받는 사회취약계층인것을 감안하면 학교폭력 감소에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온다고 본다. 교장의 행동이 작은 실천일지 모르지만 이런 실천 하나하나가 미진한 제도나 사회 안전망을 대신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학교폭력 근절을 위해서는 처벌도 중요하지만 청소년들이 지금‘무엇을 하고 있는가’‘무엇을 바라고 있는가’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시기다. 교사와 부모 그리고 사회 구성원 모두의 관심이 청소년문제 해결의 시작이자 대책의 종착역이 아닐련지 생각해 본다.  김 국 진  고령경찰서 여성청소년계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