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가 이제 80여 일도 남지 않았다. 자치단체장이나 지방의회 의원을 뽑는 기준은 오로지 유권자의 몫으로 지역의 관심은 온통 선거에 쏠리고 있다. 후보자들은 행사장을 찾아 명함을 돌리고 조직적으로 자신의 얼굴 알리기에 열중인 가운데 6회째인 전국동시지방선거가 고민 이다 지방지치제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않다. 단체장이나 의원을 지역별로 뽑아 그 지역 특성에 맞는 행정을 펼치고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들의 지자체 행태를 보면 이런 문제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특히 농촌은 더 그렇다. 일을 잘하고 못하고의 잣대가 없다. 군수나 의회의원의 역할론에 대한 평가나 기준도 없다. 우선 선거직에 출마를 하면 봉이다. 돈 주머니를 내놓고 선심을 써야 하고 또 허리를 굽혀 절을 해야 한다. 정책은 관심도 없다. 씨족이 판을 치고 점잖은 인품 그리고 정이 들어야 표를 준다고 한다. 후보자의 잠재력이나 비젼은 보지도 않는다. 또, 공천이 선거를 지배한다 이러한 지자제의 선거가 지역을 멍들게 하는 요인이다.선관위와 사법기관은 금품선거를 척결하겠다고 하지만 선거운동원과 조직원들의 만연된 문화를 어떻게 적발하고 고칠수 있을까. 사실 고발만 기다리고 있지는 않은가?유권자의 선택 기준이 확고하지 않으면 기초 자치단체 선거는 하나마나다. 금품선거를 몰아내고 정치 선진화를 꾀하겠다고 갖가지 법률을 제정해 시행하지만 만연된 병폐를 아직 고치지 못하고 있다. ‘조직이 곧 돈’으로 통하고 있지 않은가. 유권자들의 의식 또한 마찬가지다 선거때만 되면 금품에 휘둘리는 표심과 선거운동을 핑계로 검은 손을 내밀고 있지 않은가선거법으로 닥달을 해도 받아 들이는 농촌의 선거문화는 요지부동이다. 이론과 실제가 다른게 이곳 선거판에도 적용되고 있다.유권자 의식수준을 탓하기 앞서 출마자들이나 운동원들도 과거의 선거병을 탈피하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국민들은 무공천을 부르짖었지만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손.발을 자를리 만무다. 공천 또한 지역 국회의원의 의중이 공천을 결정짓는 것 쯤은 국민들은 다 알고 있다지역별 차이는 있겠지만 이번 6.4지방선거에도 공천이 최대의 변수요, 관심사다. 국민 경선제 또는 전략공천이라고 하지만 의회나 자치단체장의 주 기능은 제쳐 두고 있다. 당의 기여도 인지도 당원득표 등 국회의원의 의중을 헤아릴 수있는 별별 이유 등을 따지는데 이는 정치사회 발전과 무관하다. 당선이후의 기능을 고려해 공천을 하는게 지역 발전과 국가 경쟁력 향상이 아닌가“알아야 면장을 한다”고 했듯이 자치단체의 특성에 맞는 정책적 비젼을 제시하고 평가받는 게 선거다. 그리고 자치단체장을‘지역대통령’이라고도 부른다. 자치단체장의 능력에 따라 지자체의 운명이 극명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단체장 선출은 전적으로 지역 주민들의 몫이다. 공천 지연 학연 혈연 금권 등의 얼룩진 편협된 사고에서 벗어나 내고장을 최고의 고장으로 만들 수 있는 유능한 지역일꾼을 뽑는 것이 곧 지자체 성공의 첩경이 아닐까. 이상인 동부지역취재본부장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