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교육감 출마에 나선 모 후보가 내건`선생님 묘역`공약이 관심을 끈다. 순직하거나 일정한 요건을 갖춘 교사가 사후에 묻힐 수 있는 묘역을 별도로 조성하겠다는 것이 골자인 이 공약은 지금 교육계 안팎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 공약은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교권침해와 선생님들의 사기저하, 교사들에 대한 홀대 등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교권침해의 심각성은 교원들의 명예퇴직 사례가 잘 대변해 준다. 지난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에 접수된 교권침해 사례가 394건으로 집계됐다. 일선 학교에서 평균 하루에 한 번 이상 교권침해가 발생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더욱 심각한 것은 교권침해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권침해는 2009년 237건, 2010년 260건, 2011년 287건, 2012년 335건, 2013년 394건으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이번 통계는 교총이 접수한 사건을 집계한 것이므로 실제로는 교권침해 사례가 더 많을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사례가 점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교총은 최근 학교 안전사고나 학교폭력 발생 건수가 증가하면서 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교사에게 책임을 묻거나,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부모가 자녀에게 징계를 내린 교사를 상대로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일이 늘고 있다는데서 원인을 찾고 있다.  한국교총의 한 설문조사에서는 교사의 70.7%가 명예퇴직 이유로 `학생 지도 어려움 및 교권 추락 현상`을 꼽았다. 선생님 묘역은 교직을 천직으로 여기며 한평생 후학양성에 매진해 온 선생님들에게는 한 가지 희망이 될 수 있다.  군인이나 소방관들은 물론 퇴직 군인과 참전용사가 예우를 받는 것처럼 평생 교직에 몸담거나 순직한 선생님들이 예우를 받지 못했던 것은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교원들을 위한 수십가지 공약보다 더 효과적이고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는 평가가 이는 이유이기도 하다.  묘역이 조성 되면 제자들은 스승의 묘역을 국립현충원을 참배하는 것처럼 자주 그리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더구나 사모님까지 합장할 수 있다면 제자 뿐 만아니라 유족과 후손들에게도 고인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물론 교권확립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권리와 인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권을 대하는 정책이 무시되고 있는 현실을 바탕으로 복합적이고 다양한 방안이 강구돼야 하겠지만 우선은 예우 분위기를 조성해 나가는 일이 중요하다.  누가 교육감이 되던 이런 공약은 향후 실현되는 것이 좋다. 교권추락의 최대 피해자는 결국 우리 학생들이 되기 때문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