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를 넘보는 대한민국이지만 한국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는 형편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인의 행복지수가 경제수준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으나 삶에 대한 만족도도 크게 뒤떨어져 `대한민국의 미래`에 심각한 의문을 던져주고 있다. 특히 최근 세월호 참사로 정부에 대한 불신이 극대화되면서 한국인의 삶의 만족도는 앞으로 더 떨어질 것이 뻔하다.  8일 OECD의 `2014 더 나은 삶 지수`(Better Life Index 2014)에 따르면 한국은 11개 세부 평가부문 가운데 `삶의 만족도` 지수가 6.0점으로 34개 OECD 회원국과 러시아·브라질 등 모두 36개 조사대상국 중 하위권인 25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국 평균은 6.6이다.  `삶의 만족도`는 인생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0~10점에서 매긴 수치로 국민이 느끼는 행복도를 반영하는데 만족도 지수가 비슷한 국가는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은 스페인(24위)과 이탈리아(26위), 슬로베니아(27위) 등이었다. 일본도 28위로 한국과 비슷했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정부 신뢰도`분야다.  `시민 참여` 부문에 포함된 정부 신뢰도 평가에서 한국인의 23%만 정부를 믿는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대상국 전체 평균은 39%였다.  세월호 참사 이전에 조사된 정부의 신뢰도가 이 정도 수준이었으니 어찌 보면 `참사가 일어날 수밖에 없는 정부 시스템`을 늘 머리에 이고 살아온 셈이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현재 시점에서 조사하면 정부 신뢰도는 큰 폭으로 추락했을 것이 틀림없다. 앞으로 제2, 제3의 세월호 사고가 우려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부 신뢰도는 경제 성장처럼 하루아침에 개선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신뢰는 중요한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다. 정부의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사회적 자본의 잠식을 의미한다.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성장 동력을 잃어버리는 것이다.  올 초 `2014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 발표된 남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논문에 따르면 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한국의 국민행복지수는 33위, 복지충족지수는 31위로 모두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이런 수치가 정부의 신뢰도와 깊이 연관돼 있다는 것은 두 말할 나위없다.   한국인 삶의 만족도와 정부 신뢰도, 그리고 세월호 참사와의 상관관계가 뚜렷하게 부각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것은 앞으로 정부가 무엇을 해야 할지 그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