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청년들이 먹이를 찾아 서울 등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다. 청년들이 지역을 외면하고 서울로 떠나는 것은 먹이(일자리)가 없기 때문이다. 먹이 찾아 떠난 청년들은 수도권에 둥지(집)도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 청년들의 이탈 방지를 위해 지방은 먹이와 둥지도 마련해 청년들을 불러 들어야 한다. 청년들의 지방 이탈시 지역경제 황폐화로 이어져 지방 자치단체와 함께 중앙 정부가 발 벗고 나서야한다는 여론이다. 게다가 대기업들의 투자도 지역 내 인재 부족시 지방 도시 투자를 를 외면 할 수 밖에 없어 이런  악순환 반복으로 지방도시 황폐화는 불보듯 뻔한 실정이다.    ▶ 지역 인재 정착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전문가들은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기 위해선 양질의 일자리가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선 지역 경제 활성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선 중앙정부의 의지가 필요하다고 해 지자체 차원의 노력으론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대기업 보다 지역 기업의 낮은 임금 체계는 협력업체 구조의 중소기업이 많아 대기업으로부터 하청을 받는 중소기업 처지에서 지역에서의 경영 활동은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이런 상황으로 인재 유치의 어려움마저 더해져 결국 기업들도 수도권행을 고려할 정도다.지역 소멸이 빠르게 진행되는 만큼, 정부에서 지역 청년의 낮은 임금 보조등 과감한 결단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지역 청년들의 서울행은 낮은 임금 때문으로 영세기업이 대부분인 지역에 있는 기업이 적정 임금을 줄 여력이 안 된다면 중앙정부와 지자체에서 임금 수준을 보조하거나 청년들의 비용을 낮춰주는 것이 대책 강구도 필요하다.특히 대기업 유치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확보는 지역 청년과 중소 기업들 탈지역 대안으로 가장 많이 거론돼 지역을 떠나는 청년들을 잡으려면 그들이  선호하는 양질의 일자리 기업을 유치하는 방법밖에 없다.청년 잡기 정책은 금전적인 보상 외  지역을 매력적인 도시로 만들기 위한 기업과 지자체의 노력도 필요하다. 젊은 청년들은 임금보다 워라벨이나 수평적인 조직문화를 중시하는 경향으로 청년들이 즐길만한 다양한 문화 환경을 확보해 문화 활성화에 투자해야 한다.   ▶ 청년 떠난 지방 도시, 심각해진 인구 소멸   지난해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89곳을 지정했다. 89곳 중 16곳은 경북이다. 경북은 전남과 함께 가장 많은 곳이 인구감소지역으로 꼽혔다. 2021년 감사원이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47년이 되면 대구, 경북 모든 구·군이 소멸(고) 위험 단계에 접어든다.     인구소멸 문제는 사실 자연 감소보다 유출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지방은 더욱 그렇다.    대구·경북은 동일하게 유출하는 인구가 많아 고민거리이고, 경북은 특히 더 우려할 수준이다. 2018년부터 2020년 사이 경북에선 4만 3424명이 태어나고, 6만 6791명이 사망했다. 이동이 없을 경우 순감소 인구는 2만 3367명이다.같은 기간 경북에서 밖으로 빠져나간 순인구는 3만 774명으로 순감소 인구보다 31% 더 많아 매년 약 60만 명이 경북 내외를 오가며 이동했다. 지역 청년들 이탈 현상 여건으로 자생적인 도시권이 형성되어 수도권과 비교할 때 차이가 크지 말아야 지역 청년들 이탈을 막을 수 있다. 여건 중 가장 중요한 여건은 단연 일자리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43.6%가 이주 초기 가장 필요한 정책을 일자리로 꼽았다.고려대 경영연구원 조사도 45.6%가 1순위로 일자리를 꼽았다. 결국 대한민국인 모두가 알고 있는 최고의 난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 국무조정실 청년 공작소 토론회 개최   지난해 국무조정실이 진행한 '청년정책 공작소' 토론회에서 청년들은 자산형성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대부분의 청년들은 ‘청년통장’은 가입 조건이 까다로와 청년이 속한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4인 기준 약 512만원)이고, 가구 재산은 3억 5000만원(대도시 기준)이하여야 한다. 이런 까다로운 청년 통장 가입으로 힘들게 종잣돈을 모았더라도 안정적인 주거지를 마련하기에는 역 부족이다.    청년 정책 전문가들은 “MZ 세대 청년의 97%가 독립하려면 거주 공간의 분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했지만, 이중 42%는 전·월세 보증금이 부담스러워 독립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구미산단의 최모(35)씨는 “구미에 정착하고 싶어도 마음에 드는 양질의 일자리가 없는것은 물론 서울로 일자리를 찾아 떠나려 해도 서울은 집값은 물론 원룸 임대료도 비싸 망설여진다”며 양질의 일자리만 있다면 지역에 정착하고 싶다”라고 말했다.한편 구미시는 청년정착대책으로 지난 2015년 부터 각종 청년 일자리 대책을 추진해 왔지만 큰 성과가 없는 편이다.    구미시와 달리 타 자치단체들은 청년층 인구 이동 방지로 1000개의 꿈 창출 과 장려금 지급, 일자리 창출 교육 니트없는 청년 일자리 도약 사업 등 청년들 잡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구미시와 김천시도 구호에만 그친 성과없는 청년대책 보다 실질적이고 보다 효과적인 청년잡기 대책에 전 행정력을 쏟아 부어 지역 청년들 탈 지역 방지에 최선을 다해 나가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