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물 건너간 구미 취수원 이전 대응책으로 안동댐 물 취수에 팔을 걷어붙였다.   이런 대구시 취수 정책에 안동댐 하류 지역인 구미 등 낙동강 변 7개 시군 지역의 가뭄 시 농·공업 용수 부족 등으로 인한 반발도 예상된다. 대구시는 다음 달 중 취수원 안동 이전 사업을 내부적으로 확정해 환경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하루 평균 30만톤의 물을 대구시와 경북 지역에 공급하기로 하는 취수원 다변화 협정이 폐기된 지 약 1년 만에 안동댐에서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110㎞를 도수관로로 연결하는 안을 유력 방안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당초 대구시는 ▲낙동강 본류 따라 도수관로 설치 ▲안동댐에서 군위 댐을 거쳐 도수관로 설치 ▲임하-영천댐 거쳐 대구 관내 신설 정수장으로 도수관로 설치 등의 안을 놓고 검토했다.하지만 관로 건설 구간 증가에 따른 비용 증대, 정수장 신설에 따른 비용 추가 등의 문제로 안동댐에서 국도변을 따라 최단 거리로 문산·매곡 정수장까지 도수관로를 설치하는 현재 계획이 경제성 측면에서 최적의 안으로 판단됐다.이 사업 추진시 들어 갈 사업비는 약 1조원으로 안동댐에서 국도를 따라 관로 설치 비용 7천억원은 환경부가, 3천억원은 수자원공사가 부담할 계획이다.사업 완공 시 대구는 안동댐에서 하루 63만5천톤의 식수를 공급받는다고 밝혔다. 대구시는 수자원공사도 안동 취수원 이전 사업에 찬성해 환경부와 협의가 막바지 단계로 연말이면 어느 정도 협의가 끝날 것으로 전망했다.홍준표 시장은 “맑은 물 하이웨이 추진안이 실제 국가계획에 반영돼 정부 사업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등 넘어야 할 과제들이 많지만, 대구시민의 안전한 식수원 확보를 위한 철저한 준비로 반드시 정부 정책사업으로 반영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대구시의 바램과 달리 안동시민 들은 협의 1년이 지나도록 안동댐 취수에는 여전히 냉랭하다. 안동시는 대구시와 협약 성사로 댐 수자원 개발 관련 용역을 지난해부터 세 차례나 내놨지만, 안동시의회가 모두 전액 삭감했다.안동시의회는 “안동댐 직접 취수는 안동시민들이 반대해 안된다”며, “대구시에 하루 63만5천톤 물 취수시 댐 속에 남아있는 물이 많지 않아 가뭄시 안동 댐 아래 의성·상주·구미·칠곡·성주·고령 등 경북도내 시군 농·공업 용수 부족의 해결책도 깊이 고민해 봐야한다”고 했다.지역 환경단체 들도 반대했다. 환경 단체들은 “최근 악화한 안동댐 녹조에다, 중금속 퇴적물 문제가 풀리지 않고 있는데, 수자원 개발까지 이뤄지면 환경오염이 더 가속화할 것”이라며 취수원 이전에 강력 반발했다. 특히 환경 단체들은 개발로 인한 오염 부하량 증가 시 수질 악화와 안동댐 하류 지역인 구미 공단 공업용수 부족 등 안동댐 취수를 반대할 경우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은 많은 어려움도 따라 대구시가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는 산적한 상태다. 이러한 홍준표 대구시장의 마이웨이 정책으로 대구시와 경북 지지체 간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구미시와 대구 취수원 이전 갈등과 함께 의성군과는 신공항 물류 터미널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의성군 주민들은 추석을 앞둔 지난달 27일 "대구시가 의성군과 제대로 된 협의 없이 일방적 시설배치 발표는 의성군민을 무시한 처사로 공동합의문 정신에도 위배되어 화물터미널 없는 신공항 이전은 용납할수 없다”며 대구 시청 앞에서 시위도 벌였다.한편 대구시는 구미시가 전임 장세용 시장이 추진한 하루 30만톤 낙동강 물을 대구시에 공급하는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협정을 맺은뒤 김장호 구미시장이 취임하면서 물거품이 되자 지난해 11월 안동시 및 안동시의회와의 취수원 이전과 관련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12월에는 ‘맑은 물 하이웨이 추진 방안 검토 용역’을 착수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