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먹통 사태로 큰 파장을 낳았던 정부 전산행정망이 20일 정상화됐다.
 
그러나 여전히 전산망 먹통 원인을 정확히 내놓지 못한 것과 고장 원인으로 지목된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가 평일에 이뤄진 이유에 대해서도 해명이 이뤄지지 않아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특히 '대기업 참여 제한' 제도로 인해 IT 중소업체가 주요 국가 전산시스템인 행정전산망 유지·관리를 맡을 수 있게 된 부분에 대해서도 지적의 목소리가 나온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전산망 마비 원인을 행정전산망 '새올지방행정시스템'의 인증시스템 중 하나인 네트워크 장비 이상 때문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장비 내 정보를 주고받는 'L4 스위치'에 이상이 생기면서 사용자 인증절차에 문제가 생겼고, 이는 사용자 접속 장애를 불러와 새올 시스템을 통한 민원서류 발급 업무가 중단됐다는 것이다.이후 민관 전문가로 구성된 복구팀이 18일 새벽 네트워크 장비를 교체했고, 안정화 작업을 거쳐 행정전산망 복구를 완료했다는 게 행안부 설명이다.그러나 장애 원인으로 지목된 'L4 스위치가 왜 이상을 일으켰는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이와 관련해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실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L4 장비에 문제가 생겼다는 걸 발견했는데, 그 안에 어떤 부분이 실제로 문제를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는 저희가 조금 더 면밀한 조사를 거쳐서 확정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IT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에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볼였다.김용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카카오나 네이버와 같은 민간 IT 기업이 사흘째 복구 조치도 하지 않고, 원인 발표도 하지 않았다고 생각해 보라. 아마 난리가 났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번 먹통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 프로그램 업데이트 작업이 진행됐는데 이 작업이 휴일이 아닌 평일에 이뤄진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보편적으로 보안패치 등 SW 업데이트는 이용자가 적은 주말에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행안부 관계자는 "큰 규모의 SW 업데이트 작업은 주말에 하지만, 이런 패치 작업은 규모가 작아 평일에 진행한 것으로 안다"고 했다.
 
대기업의 공공 SW사업 참여를 제한하는 현행 제도가 전산망 마비의 한 배경이 된 게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소프트웨어 진흥법은 국가안보, 신기술 분야 등을 제외하고서는 원칙적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대기업이 공공 SW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