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29일 당 원로인 황우여 상임고문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지명하고 위기 수습 국면에 들어갔다. 4·10총선 참패 이후 19일 만이고,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이 사퇴한 지 18일 만이다. 워낙 구인난을 겪은 터라 내달 2일 전국위원회에서 비대위원장으로 무난하게 의결되겠지만, 총선에서 드러난 정권심판론 민심을 반영해 추진력을 갖고 변화와 혁신의 밑그림을 그려나갈 적임자인지는 의구심이 든다. 여당 내부에서도 '감동 없는 인선'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향후 역할에 실질적 제한은 있다고 하더라도 당 지도부가 새 비대위원장을 '관리형' '실무형'이라고 지레 규정한 것도 당장 여당이 처한 비상한 상황을 고려하면 지나치게 안이한 현실 인식 아닌가.어쨌든 '황우여 비대위'는 쇄신책 마련보다 당 대표 선출을 위한 6월 전당대회 개최 준비에 몰두할 것으로 보인다. 2개월 한시 관리형이란 한계가 있지만, 과제는 만만치 않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대표 선출 방식이 최대 뇌관으로 꼽힌다. '당원투표 100%'로 규정된 전대 룰에 국민여론조사를 상당 부분 반영하도록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해관계를 잘 중재·조정하는 것이 5선 국회의원 출신으로 박근혜 정부 시절 여당 대표와 부총리 겸 교육장관을 역임한 황 고문의 연륜에 그나마 기대하는 바다.국민의힘 차기 원내대표 선출은 쇄신 요구와는 더 거리가 멀어 보인다. 후보 등록 이틀 앞두고 공개적으로 출마 선언한 의원이 없다. 친윤 핵심인 이철규 의원의 출마가 거론되면서 다른 후보들이 불출마 의사를 밝히거나 눈치를 보는 탓이다. '이철규 대세론'에 경선조차 없는 '이철규 추대론'까지 공공연하게 나온다.윤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과 친윤계의 정치 행태는 국민에게서 준엄한 심판을 받았다. 이런 상황에서 이 의원이 당을 장악하겠다는 것은 대놓고 '도로 친윤당'으로 회귀하겠다는 뜻과 다름없다. 야당과의 관계도 협치나 협상보다는 대립과 갈등 구조가 더 심화하고 고착화할 공산이 크다. 윤 대통령에게도 바람직하지 않다. 수직적 당정 관계를 고수하겠다는 오해를 살 수 있고, 쇄신·협치 약속에 대한 의지를 의심받기 십상이다. 선당후사 차원에서라도 이 의원을 비롯한 친윤계는 당분간 전면에 나서기보다 성찰하고 자숙하면서 국민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