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출생아 수와 혼인 건수 증가가 미래 신산업 육성 등 대구 혁신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31일 대구시와 대구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대구의 올해 1~8월 대구의 혼인건수는 626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해 전국 2위, 출생아 수는 6596명으로 1.7% 늘어 전국 3위의 증가율을 보였다.연구원은 이러한 긍정적 변화의 요인으로 ▲일자리 요인 ▲주거 요인 ▲정책 요인 등이 결합돼 나타난 결과로 분석했다. 청년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양호한 정주 여건, 대구시의 출산 및 보육정책 등 정책 요인이 결혼과 출산 증가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개별 요인의 기여도 분석에서는 일자리 창출이 46.2%로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 주거 42.2%, 정책 11.6%로 나타났다.3대 요인 간 선후 관계도 분석결과에서도 일자리 요인이 청년 유입을 유발하는 선도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일자리를 찾아 대구시로 유입된 청년들이 직장 소득을 고려해 주택을 구하는 단계로 이어지고 이 과정에서 출산 및 보육정책 등 다양한 정책 요소가 출생과 혼인에 단계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했다.인구학적 측면에서는 대구의 결혼적령기 인구(30~34세)가 지난해 14만6165명으로 2020년(13만4656명) 대비 2.77% 증가해 서울(2.31%), 부산(2.14%)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또 사회적 이동 측면에서는 청년 인구 유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30~34세의 순이동자 수가 8개 대도시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일자리 요인으로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을 분석한 결과 대구 30~34세 인구 경제활동참여율과 고용률이 2020년 대비 2023년에 각 4.2%p, 6.6%p 증가해 8개 대도시 중 대전 다음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이는 지난해 대구시의 제2국가산단유치, 글로벌pnp대구지사 개소, 비수도권 최대 민간복합개발 지식산업센터 유치, 반도체공동연구소 선정, 모빌리티모터 소부장 특화단지 유치, 뇌연구실용화센터 개소, 블록체인 기술혁신 지원센터 개소 등 청년들이 선호하는 산업생태계를 구축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했다.특히 2022년 7월~2024년 9월까지 37개 업체, 9조2033억원 투자유치 협약으로 지난 10년간 유치실적의 2배 성과를 창출했으며 기업유치 지원을 위한 ‘원스톱투자지원체계’를 구축해 대구가 기업이 모이고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의 변화가 청년 맞춤형 일자리 창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또 주거 요인으로는 집값 걱정이 상대적으로 적고 양질의 교육 및 문화여건이 갖춰져 있어 결혼적령기에 있는 청년들이 대구를 결혼하고 아이키우기 좋은 곳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연구진은 정책 요인으로 대구형 온종일돌봄 운영 등 공보육 강화와 돌봄체계 구축, 난임부부 시술비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시 소득제한을 전면 폐지하는 등 양질의 의료서비스와 건강한 임신·출산 여건을 조성한 것도 대구시의 결혼건수와 출생아수 증가에 중요한 정책적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이에 따라 일자리와 주거, 정책요인이 결합된 성과가 확대돼 향후 대구시가 '청년이 모이고 정주하는 중심 거점도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했다.박양호 대구정책연구원장은 ”청년 고용률 증가와 타 대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정주여건 뿐만 아니라 대구시의 미래 신산업 육성 등 시정 전반에 걸친 대구혁신 100+1 정책추진에 따른 다양한 효과가 결혼과 출생아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