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상공회의소가 지난해 11월 19일부터 12월 2일까지 지역 내 102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25년 구미 수출전망 및 대내외 리스크, 경영계획 환율·금리’ 조사를 실시했다.조사결과 구미 제조업체들은 올해 수출이 작년과 비교시 ▲비슷한 수준(37.6%) ▲감소(,25.7%)▲ 증가(25.7%)를 예상했다.
2025년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 대외 리스크 요인은 ▲트럼프 2기 통상정책(34.3%) ▲유가·원자재가 변동성(14.2%) ▲전쟁 등 지정학 긴장 장기화(12.7%) ▲수출·산업경쟁력 약화(12.3%) ▲중국 내수 침체및고환율 기조각각(9.8%) ▲세계 공급망 재편·블록화(’5.4%)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트럼프 당선이후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반도체는 보호무역주의 및 대중 규제 강화, 반도체 지원법 관련 불확실성 확대 우려 ▲자동차·이차전지는 미국향 완성차 수출 시 관세 인상 및 IRA 전기차 세액공제 혜택 축소 ▲방산은 미국 국방력 강화 우방국과의 기술 협력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경우 역대 최대 방산 수출 기대 등이다. 올해 내수 판매 조사결과 구미 제조업체들은 ▲전년대비 감소(48.0%) ▲전년과 비슷한 수준(36.3%) ▲전년대비 증가(15.7%)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내수 판매 전망 속에서 2025년 한국 경제를 위협하는대내 리스크 요인은 ▲물가 변동성 확대(29.7%) ▲가장경제·사회 양극화 심화(28.7%) ▲가계부채 심화(28.7%) ▲건설·부동산 시장 위축각각( 10.4%) ▲기 업부담 입법 강화(8.9%) ▲고령화 등 내수구조 약화(4.5%) ▲노사갈등 리스크(3.0%) 순으로 조사됐다. 구미 제조업체의 2025년 경영계획 수립 환율은 달러 당 평균 1346원으로 2024년 수립 환율(1263원)대비 83원 높게 나타났으나 현재 환율(한국은행 올해 1월말 기준)은 1453원으로 기업의 전망치보다 약 107원 높아 원자재와 중간재의 수입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에게는 큰 타격일 것으로 예상되며 자금조달 금리 전망치는 3.69%로 현재 중소기업 대출금리보다 다소 낮게 전망했다.한국경제 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는 ▲인플레이션(물가) 관리(29.1%) ▲수출확대 및 공급망 강화(22.7%) ▲기업부담입법·규제완화(16.7%) ▲가계·기업 부채관리(10.3%) ▲성장 잠재력 확대 저출산·고령화 해결(7.9%) ▲미래전략산업 지원강화(5.4%) ▲탄소중립·에너지 안보( 4.9%) 순이다. 구미상공회의소 심규정 경제조사팀·기업유치팀장은 “지난해 구미는 대내외적 불확실성 상황에도 수출 283불기록과 꾸준한 투자유치와 인구 감소세 완화에도 불구 올해 트럼프 2기 출범으로 통상환경이 더욱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에서는 환율리스크 관리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등 자구책을 마련과 구미시도 올해부터 늘어난 수출보험료 예산 확대 등 촘촘한 기업 지원 혜택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구미산단 기업체들은 '2025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에 대해 응답업체의 87.3%는 올해 한국경제 성장률을 2.0%미만으로 내다봐 정부를 비롯한 국내외 주요 기관의 전망치(2.0~2.5%)보다 낮게 전망했다. 한국 경제 회복시기 예상은 올해 부터 회복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이 36.3%로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