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원전 2기 도입 방안 등이 담긴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이 19일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으면서 신규 원전 건설이 가능해졌다. 정부는 첨단산업 발전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 등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맞춰 안정적 전원을 확보하기 위해 곧 신규 원전 부지 확정을 위한 절차에 착수할 계획이다.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11차 전기본(2024∼2038년)을 보고했다. 전기본에는 2037∼2038년 각 1.4GW 설비용량의 신규 원전 2기를 도입하는 방안이 담겼다. 이 안이 정부 내부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되면 신한울 3·4호기 건설 계획이 반영된 2015년 7차 전기본 이후 10년 만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마련되게 된다.산업부 관계자는 "전기본이 확정되면 절차에 따라 원전 건설 방안도 조속히 추진될 것"이라며 "한국수력원자력에서 부지 선정 작업부터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신규 원전 부지 선정은 산업 특성상 주민 수용성이 중요하고 방사성폐기물 처리 문제까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사안이다. 이 때문에 업계 안팎에서는 과거 원전 건설이 추진됐다가 취소된 경북 영덕 천지 1·2호기와 강원 삼척 대진 1·2호기 부지가 후보지로 유력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천지 1·2호기와 대진 1·2호기 건설 예정 부지는 모두 전원개발사업예정구역으로까지 지정돼 사업자인 한수원이 일부 토지를 매입했던 곳이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이 추진되면서 사업이 모두 백지화됐다. 당시 천지 원전 쪽의 사업 진척도와 주민 수용성이 높았던 점을 들어 신규 원전으로 천지 원전이 우선 검토 대상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일각에서 제기된다.다만, 지역 내에서도 주민, 환경단체, 지자체 등의 입장이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에 결과를 예단하기는 힘들다. 원전 건설로 인한 경제 효과에 대한 기대가 있는 한편, 방사성폐기물 등으로 인한 건강 및 환경 문제를 우려하는 시각이 공존한다.아울러 과거 백지화 경험 등으로 인한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 등의 변수도 있어 영덕, 삼척 등이 유력한 대안이 될지, 새로운 지역에서 유치 움직임이 일어날지 등은 앞으로 부지 선정 절차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한수원은 "신규 원전 부지 확보와 관련해 한수원이 우선 검토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지역은 없다"며 "향후 안전성, 환경성, 수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자체 자율유치 등을 통해 부지를 선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