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일본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사고 발생 14주년을 맞아 후쿠시마 핵오염수 해양 투기 문제에 대한 비판과 우려가 다시 한 번 커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2023년 8월 24일부터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방사능 오염수를 태평양에 해양 투기하기 시작, 10차례에 걸쳐 7만7,000여 톤에 달하는 오염수를 바다에 방출한 상황이다.일본 정부는 방류 계획을 최소 30년 이상 지속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으며, 12일에는 11차 방류를 시작하여 이달 말까지 추가로 약 7,800여 톤의 오염수를 바다에 투기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국제사회와 환경 단체들은 우려를 표명하며 일본 정부의 방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후쿠시마 방사능 유출사고는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발생한 사고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냉각장치가 파괴되면서 발생한 노심 용융과 수소 폭발로 인해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되었다. 이는 체르노빌 사고와 함께 인류 역사상 최악의 원자력 사고로 기록되고 있으며, 사고 이후 일본 정부는 사고 수습과 폐로를 진행하지 못하고 오염수 처리 문제에 직면해 있다.특히, 일본 정부는 해양 방류가 안전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국내외에서는 해양 생태계와 수산물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해양 투기가 시작된 지 2년이 지났지만, 방류가 장기적으로 계속될 경우 누적된 오염이 해양 생태계와 지역 주민들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사고 발생 14주년을 맞이하여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반대 포항시민행동' 등 시민 단체들은 일본 정부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며, 핵오염수 해양 투기를 즉각 중단하고 자국 내에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우리는 후쿠시마 사고로 발생한 핵오염수가 미래 세대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며, 해양 투기를 중단하고 다른 해결 방안을 모색할 것을 일본 정부에 촉구한다"고 말했다.환경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사고가 남긴 여파는 단기간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라며 "한 번의 핵발전소 사고가 얼마나 오랫동안 많은 피해를 주는지 그 끝을 알 수 없다"고 경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