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의원 발 국회의원 총사퇴 선언이 탄핵정국을 강타하고 있다. 거야의 입법 독주에 지쳐있는 국민은 대환영이다. 국회의원이 총사퇴하고 총선을 다시 치르자는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의 폭탄 발언 배경을 두고 정가는 설왕설래하고 있다.
국회의원 총사퇴는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지연에 따른 엄포용인지 몰라도 반기는 표정이다. 국회의원 총사퇴 후 총선을 다시 치르자는 주장에 그 진정성과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24일 헌재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계속해서 지연시킬 경우라고 단서를 달았으나 파문은 일파만파로 확산일로에 있다. 이 최고위원은 헌재 판결 지연으로 내란 상황이 지속되는 만큼 국회를 차라리 재구성해서 체제를 정비, 재출발하는 게 더 낫다고 주장을 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헌재의 탄핵 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이를 압박하기 위한 측면에서 배수진을 친 것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천막 당사 등 장외투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실제 효과가 크지 않은 만큼 국민적 반향이 큰 조기 총선 카드를 꺼냈다는 분석이다. 또 개헌이나 대통령 탄핵이 가능한 200석을 노린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야권 단독으로 개헌을 밀어붙이거나 탄핵 심판이 인용되지 않고 대통령이 복귀하게 될경우 탄핵 정족수를 확보해서 다시 저지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 지도부는 대통령 탄핵 심판이 결과가 나오지 않았는데 의원이 모두 사퇴해서 조기 총선을 치를 경우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면 사실상 입법부의 견제가 불가능해진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내에서도 '국회의원 총사퇴' 주장을 개인의 발언으로 일축하고, 탄핵 국면 정리 전까지 절대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하더라도 윤 대통령 파면 이후로 조건을 걸었다. 김용민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25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탄핵 국면이 정리되기 전까지 의원직 사퇴는 절대 해서는 안 되며, 지금 쓸 수 있는 카드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선원 민주당 의원도 CBS 라디오에 출연해 "지금의 맥락에서 총사퇴가 맞는지 한번 생각을 해봐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행정부뿐만 아니라 사법부도 결함이 있어 보이는데, 입법부마저 작동이 멈추면 안 된다"고 반대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국민은 국회의원 총사퇴에 환영 일색이다. 오늘의 대혼란 수습은 22대 국회 해산이 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