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방면의 환경이 변화는 만큼 정책 등 대전환이 절실한 지금 149시간의 산불 전쟁을 치른 경북도가 장비의 대전환, 지원체계의 대전환 등 국가 차원의 특별법을 제정해 모든 재난에 대응해야 한다”이철우 경북도지사가 30일 긴급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강조하고 “이제는 바라보는 산이 아니라 돈이 되는 산을 만드는데 중앙정부는 산림정책 등을 가까이 지켜보는 지방으로 모든 권한을 이양해야 한다”며 지방 권한의 중요성을 일깨웠다.이철우 도지사는 이번 대형 산불 피해와 관련, “우선 국민들에게 죄송하고 유가족이나 피해 주민들에게 미안함 마음 감출 수 없다”며 “이번 산불은 국가적 과제인 만큼 정부와 협력해 경북도는 피해 주민들이 일상생활로 빨리 돌아 갈 수 있도록 모든 행정력을 동원하겠다”고 밝혔다.또 이 도지사는 “이제 산불은 인력으로 대응할 수 없는 만큼 대형 헬기와 수송기가 필요하고 초기 진화, 야간에 활용할 수 있는 헬기 등의 장비가 도입돼야 한다”며 “국가적 과제인 만큼 산림 대응체계 등 완전 탈바꿈해야 한다”고 제언했다.또한, 이 도지사는 "홍수, 산불, 지진 등 이재민 대책에서 식품 등의 지원은 많지만 옷과 이불 등의 구호지원품이 절실하고 집 가까이 선진국형 임시주택을 마련하는 등 이재민 대책도 바꿔야 한다“고 주문했다.이 도지사는 “법, 특히 산림법이 너무 까다롭다”고 전제, 고운사는 대웅전만 남긴채 소실됐지만 봉정사, 하회마을 등의 주위에 나무들은 다 베어낸만큼 산림보존보다 문화유산 보존의 우선 정책이 절실하다“며 중앙정부의 대책을 강구했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산불로 인해 피해를 당한 주민이나 유가족들에게 법이 허락하는 한 모든 지원제도를 찾아 지원하겠다”며 “대한민국이 겪어 보지 못한 전쟁을 치룬 만큼 국회에 특별위원회를 만들어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경북도는 22일 발생한 산불로 인해 28일 주불은 완료했지만 30일부로 잔불 정리가 완료됨에 따라 뒷불감시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