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북동부 대형 산불로 마늘, 사과, 송이 등 지역별 특산물 재배와 생산이 큰 타격을 받았다.31일 각 지자체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 28일 주불이 잡힌 '경북 산불'로 지금까지 의성과 안동, 청송, 영양 등에서 농작물 1555㏊와 시설하우스 290동, 농산물 유통가공 7곳 등이 타는 피해가 났다. 특히 산불이 과수원과 밭 등에 있는 나무, 모종 등도 광범위하게 휩쓴 탓에 북동부권 5개 시·군 특산물 재배도 직격탄을 맞았다.하지만 이 가운데 일부 특산물은 법적으로 공식적인 재난 피해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탓에 피해를 본 주민들의 한숨은 더욱 짙어지고 있다.국내 '송이' 채취량 30%가량을 차지하는 영덕에서는 이번 산불로 지품면, 축산면, 영덕읍 3곳에 있는 송이산 4000㏊가량이 불에 탔다. 영덕군 전체 산림 피해 면적(8000㏊) 절반에 이르는 수치로, 특히 지품면 피해가 막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덕은 최근 13년 연속 국내에서 가장 많은 송이를 생산하고 있으며, 비교적 최근인 2023년에는 32톤 정도가, 2024년에는 15톤가량이 각각 채취됐다.하지만 이번 산불 피해로 올해 송이 생산량은 예년 수준에 한참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 큰 문제는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사회재난구호 및 복구 비용 부담 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송이는 재난 지원금 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현재로서는 피해를 본 임야 산주 등이 보상을 받을 길이 막막하다는 데 있다.과수원이나 밭 등에서 경작하는 작물은 객관적인 피해 규모 산정이 가능하지만, 송이는 산에서 자생적으로 자라는 데다 풍작·흉작이 반복해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고, 피해 규모 산정에도 산주 주관적 의견이 반영되는 까닭에 향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번 산불로 국내 사과 주산지 가운데 한 곳인 청송에서는 사과나무가 대거 타는 등 피해가 났다. 이 지역 사과 재배 농가는 4600여곳이며 지난해 기준 생산량은 전국 사과 생산량 10% 이상인 7만5000t가량이다. 하지만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청송 내 산불 피해 사과 재배지 면적은 202.3㏊로 집계됐으며, 조사 진행 상황에 따라 향후 더 늘어날 전망이다.산불이 처음 발화한 의성에서는 특산물인 '한지 마늘' 생산 농가가 피해를 봤다. 맛이 좋고 저장성이 뛰어난 한지 마늘은 주로 중북부 지역에서 매년 6월 중순을 전후해 수확한다. 의성은 한지 마늘 최대 생산지다.하지만 산불로 인한 열기로 마늘밭에 올라온 잎이 누렇게 변하는 등 피해가 나 올해 수확량은 예년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의성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산 아래 있는 마늘밭을 중심으로 산불 피해가 났으며, 정확한 피해 면적은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