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미국 정부가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철강·알루미늄 등 품목에 추가 적용은 하지 않겠다고 밝히자 국내 철강업계는 일단 안도하면서도 현지 투자 확대를 모색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는 중국산 공급 과잉으로 글로벌 철강 업황이 악화한 가운데 최대 수출국인 미국의 관세 폭탄으로 복합 위기를 맞게 되자 미국의 관세 장벽을 넘기 위해 현지 투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백악관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직후 참고 자료를 통해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등 기존에 다른 관세가 부과된 품목은 상호관세가 추가로 적용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달 12일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서는 한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25%의 상호관세가 중과되지 않는다.철강 업계는 상호관세 중과는 피했지만, 이 조치가 한국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어서 기존 무역 환경이 달라진 것은 없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행정부 조치로 지난달 12일부터 한국은 대미 철강 수출에서 적용받던 '263만t 무관세' 쿼터가 해제되고, 모든 품목에 대해 25%의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철강 업계는 25% 관세 부과로 미국 시장에서 한국 철강 제품 수출이 축소될 것을 우려하는 한편, 주요 철강 수출국과 '제로 베이스'에서 경쟁하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보고 새로운 기회 발굴에 나섰다.대미 주요 수출 기업인 포스코는 그룹 차원에서, 현대제철은 통상전략실에서 국가별 관세, 품목별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작년 한국의 전체 철강 수출액에서 미국 비중은 약 13% 수준으로 파악된다.품목별로 강관 수출이 109만t으로 가장 많았고, 열연강판(50만t), 중후판(19만t), 컬러강판(15만t) 등의 순이었다. 강관은 세아제강과 휴스틸 등이, 열연강판과 후판은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주로 수출한다.25% 관세로 한국산 철강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오르면서 US스틸 등 현지 철강 업체가 한국 물량을 잠식하고, 일본제철 등 경쟁 업체가 한국산 철강 자리를 차지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국내 철강 업계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해 현지 생산 확대 등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현대제철은 지난달 25일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총 58억달러를 투자해 자동차 강판에 특화된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2029년 상업생산을 목표로 연간 270만t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춘 제철소를 세워 현대차·기아 등의 현지 완성차 업체에 강판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현지 생산을 통해 25% 관세 벽을 넘겠다는 구상이다. 현대제철은 이를 통해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을 비롯해 유럽 현지 글로벌 완성차 업체까지 공략한다는 방침이다.포스코 역시 미국에 '상공정' 분야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상공정은 고로나 전기로를 통해 철광석을 녹여 반제품을 만드는 공정을 말한다. 철강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점 추진하는 조선 및 알래스카 가스전 개발 사업 등에서 한국이 최우선 파트너로 거론되는 것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사업성을 검토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