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시군을 덮친 '경북 산불' 피해 규모가 1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관련 기사 3, 6, 9. 10. 12면)3일 경북도에 따르면 전날 기준 5개 시군의 피해조사액은 8000억원 수준이다. 도로, 문화재, 체육시설, 종교시설 등은 피해조사가 끝났다. 하지만 피해 면적이 광범위한 산림 조사율은 29.8%에 그친다. 산불영향 구역은 역대 최대인 4만5157ha에 이른다. 주택 68.9%, 농작물 85.9%, 가축 98.0% 조사가 진행됐다.피해 조사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주택 피해액은 2196억원 규모에 이른다. 산림은 조사가 초기 단계로 피해액이 1617억원이다. 농작물은 622억원, 축사 164억원, 하천 165억원, 도로 135억원, 문화재가 1660억원 규모다.도는 피해 규모가 계속 증가해 이번 산불 피해액이 1조원을 훌쩍 넘을 것으로 추산한다. 이번 산불로 주택 3987채가 불에 탔다. 대부분인 3915채가 전소됐고 30채는 절반 정도가 소실됐다. 42채는 부분적으로 탔다. 지역별로는 영덕이 1520채로 주택 피해가 가장 크고 안동 1230채, 청송 770채, 의성 357채, 영양 110채 순이다.농축산업 피해를 보면 농작물 3785㏊, 시설하우스 423동, 축사 217동, 농기계 6230대가 불에 탔다. 농작물 가운데는 과수가 3645㏊로 피해가 컸다. 산불이 동해안까지 번지면서 영덕에서는 어선 23척, 어민 가옥 78채, 정치망 어구 13건(50억원)이 소실됐다. 미등록 선박 1척과 레저 선박 3척도 불에 탔다.양식장 5곳에서 강도다리, 은어 등 36만마리가 폐사해 30억원 상당의 피해가 났다. 수산물 가공업체 3곳의 공장·창고 16개 동이 전소돼 35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개별 어가의 저장시설 16곳과 건조기 7대도 소실됐다. 무선과 유선 통신 복구율은 각각 96.7%, 96.5%다. 유료 방송 복구율은 89.6%다. 상수도는 모두 복구됐으나 하수도 피해 3개 시설 가운데 1곳은 아직 복구가 진행 중이다. 주택·건물 179곳은 전기 복구를 하고 있다.이번 산불로 중소기업 65곳과 소상공인 업체 135곳에서도 피해가 발생했다.경북도와 시군은 신속히 피해 상황을 조사하고 피해 내용이 누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조사에 대규모 인력을 투입했다. 피해 조사내용은 공공시설의 경우 오는 8일까지, 사유 시설은 15일까지 국가재난관리정보 시스템(NDMS)에 입력한다. 피해 범위가 워낙 광범위해 시스템 입력 기한을 연장했다.자치단체의 피해 조사 내용 입력이 끝나면 관계부처가 중앙재난피해 합동 조사를 하고 복구계획을 만든다. 이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복구계획을 심의해 확정하고 예산이 교부되면 본격적인 복구에 들어간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