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산불로 인한 재난을 극복하기 위한 재창조 2조원 프로젝트는 지역소멸을 막을 수 있는 정책으로 실질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담아내겠다”이철우 도지사를 대행한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7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초대형 산불 극복을 위한 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를 가동한다”고 발표했다.양 부지사는 “산불피해의 극복이 단순히 재난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다시 만드는 것에 머무른다면 퇴행이다”며 “복구와 재건을 넘어, 지역의 미래를 재설계하는 ‘재창조’ 수준의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5개 시군에 걸친 ‘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를 내놓았다.이번에 발표된 ‘초대형 산불극복 경제산업 재창조 2조 프로젝트’는 4대 분야 20개 과제로 구성됐으며, 재정과 민자를 망라한 투자사업들로 채워졌다. 크게는 지역특화산업인 바이오 농생명산업을 미래형으로 육성하고 농공단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산업분야와, 골목상권과 관광산업을 포함하는 민생분야로 나눌 수 있다.우선 산업 분야인 특화산업과 농공단지 재창조에 1조 4880억원을 투입, 안동에 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복원, 바이오식품산업밸리, 전통주산업클러스트을 조성한다. 또 의성에 기업형 스마트팜산업단지 조성, 청송에 스마트 사과유통가공센터, 영덕 수산물 산지거점유통센터, 스마트양식 콤플렉스, 영양에 스마트산채원을 조성한다.이와 함께 농공단지 재창조에 3401억원을 들여 안동과 영덕에 안전산단, 스마트산단, 그린산단을 조성하고 비즈니스와 주거복합센터 건립, 특히 지역 이미지 개선에 앞장서기로 했다. 골목상권 재창조에는 750억원을 들여 청송 달기와 신촌약수터 재건, 영양 식품연구소 조성, 의성 마늘요리 미식거리 조성, 영독 수산물 소상공인 복합지원센터를 건립한다. 특히, 관광산업 재창조를 위해 7330억원을 들여 청송에 산림레포츠 휴양단지 조성, 영덕 고래불 호텔 건립, 의성에 미래농업테마파크 조성, 영양에 소규모관광단지 조성과 체류형 산림리조트를 건설한다.양 부지사는 “스마트팜과 스마트양식은 지속가능한 농어촌을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혁신적인 접근방식이다”며, “오늘 우리가 뿌린 씨앗들을 먹고 후손들은 첨단기업의 직원으로, CEO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농공단지는 ‘기업이 시작되는 요람’이지만 규모가 작고 기업들이 많지 않아 정책적 배려에서 소외되어왔다”며 “농공단지가 조속히 정상화 될 수 있도록 가용 수단을 총동원하는 것은 물론, 국가 차원에서 ‘안전하고 기업하기 좋은 기회의 땅’으로 재창조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양 부지사는 “지역 골목상권은 사실상 지역경제를 견인하고 있고 골목상권이 활성화되면 지역경제가 살아난다”면서, 피해를 입은 골목상권을 재창조하는 명소화 전략을 내놓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