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여당 지위를 잃었다. 그저께까지 여당이었던 국민의힘이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졸지에 야당이 되면서 책임이 막중한 여당 자리를 내려놓았다. 그렇다고 윤 정권의 총리가 대통령권한대행을 하는 마당에 준여당일 뿐 야당은 아닐 수도 있다. 윤 전 대통령은 헌재의 파면에 승복하지 않는 것은 계엄 정당성 주장에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그를 지지하는 국민이 많아 자연인으로 돌아갔으나 조기 대선 과정에서 어떤 움직임을 보이느냐에 따라 국민의 힘에는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치러진 조기 대선 때는 친박계 인사들이 박 전 대통령 사저를 연이어 방문하면서 이른바 ‘박심(朴心)’ 논란이 일었었다. 이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탄핵에 반대해 온 지지자들을 상대로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는 메시지를 내 주목받고 있다. 국민의힘은 의총을 열고 바쁘게 움직이고 있으나 민심은 냉냉하다. 윤 대통령 탄핵날에 발표된 한국갤럽 조사에서 장래 대통령 후보 선호를 묻는 질문에 국민의힘 강세 지역인 대구·경북, 부산·경남·울산에서 ‘응답 유보’가 각각 44%로 전국 평균(38%)보다 높았다. 국민의힘 일각에선 이런 분위기가 대선 때 투표 참여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국민의힘의 전통적 지지층인 낙동강 벨트와 중도층인 한강 벨트의 탄핵에 대한 정치적 의견이 분열돼 있는 상황이라는 정치권의 분석이다. 국민의힘 지도자들이 낙동강 벨트의 전통적 지지층을 어떻게 설득하고 통합으로 이끌어내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다. 하지만 여당 지위를 잃은 국민의힘은 주말인 6일 중진 의원 간담회, 의원총회를 잇달아 열고 정국 수습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애서 이견 충돌이 있었다. 조기 대선이 60일도 남지 않은 상황이지만, 탄핵 찬반을 둘러싼 책임 공방이 이어지는 등 윤 대통령 탄핵 여파가 이어졌다.    탄핵에 반대했던 전통적 지지층의 이탈, 윤 전 대통령의 정치적 영향력 행사 가능성 등도 대선 국면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이 마주한 ‘3각 파도’를 넘지 못하면 조기 대선 국면에서 좌초할 수도 있다. 여당을 잃은 국민의힘은 주군의 탄핵에 슬퍼할 시간이 없다. 윤 전 대통령은 이번 대선에서 행동에 나서지 않을 수도 있다. 지도부와 주요 대선 주자는 독자적으로 살길을 찾아야 한다. 오직 국민만 바라보고 전략을 세워야 승산이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