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정치 불확실성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여파로 원/달러 환율이 금융위기 이후 최고로 치솟은 가운데 한국시간 9일 오후 1시1분 기점으로 한국에 대한 25%의 상호관세도 발효돼 국내 기업들이 비상이 걸렸다.환율이 올라가면 수출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대체로 유리하다는 것이 과거 공식이었다. 하지만 국내 기업들의 해외 조달 및 생산 비중이 높아지고,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를 빌미로 고율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환율 급등은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졌다.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오전 9시 15분 전날 주간 거래 종가(오후 3시30분 기준가)보다 13.0원 오른 1,486.3원까지 치솟았다.장중 기준으로 금융위기 때인 2019년 3월 16일(1,492.0원) 이후 최고 수준으로, 1,500선 돌파가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온다.여기에 더해 이날 오후 1시 1분부터 25%의 미국 상호관세가 한국산 제품들에 부과됐다.환율 급등과 상호관세라는 유례없는 상황에 맞닥뜨린 국내 기업들은 갈피를 잡지 못하는 모습이다. 과거에는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달러로 제품을 팔고서 원화 환산 수익이 늘어날 수 있어 수출 기업에 호재라는 공식이 통했다.하지만 미국이 한국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상황에서 이러한 환율 효과까지 발생하면 미국이 이러한 수익 상승분을 문제 삼아 가격을 낮추라고 압박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했다. 아울러 대기업을 중심으로 수출 대신 해외 현지 투자 및 생산이 늘고 있고, 원자재 수입분 대부분을 달러로 결제하는 상황에서 환율 상승은 기업들의 비용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이태규 한국경제인협회 글로벌리스크팀장은 "(환율 상승이) 수출에 좋고 수입에는 나쁘다고 볼 수 있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그 양자가 어떻게 작동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미국이 상호관세를 적용한다면 원화 절하의 (긍정적) 영향이 상쇄되기 때문에 이득보다 손실이 클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환율상승과 상호관세라는 '더블 악재'는 국내 산업계 전반에 충격을 줄 전망이다. 이는 과거 수출 비중이 높아 고환율 수혜 업종으로 분류됐던 자동차, 반도체 등의 산업에서도 마찬가지다.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통상 원/달러 환율이 10원 상승하면 국내 자동차 업계 매출은 4000억원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대미 자동차 수출액은 347억4400만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707억8900만달러)의 49.1%를 차지했다. 여기에 다른 지역 수출도 상당 부분 달러화로 결제된다는 점에서 환율 상승은 자동차 업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분석됐다.하지만 대미 흑자 비중이 가장 높은 자동차를 대상으로 지난 2일부터 25%의 관세가 부과되면서 환율 상승에 따른 수혜는 반감될 가능성이 더 커졌다. 또 고환율이 장기화할 경우 원자재·부품 원가 상승, 내수 시장 위축 등으로 이어져 자동차 산업에 더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다.반도체와 배터리 업계도 투자액 증가, 원자잿값 상승 등 '이중 리스크'에 울고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는 수출이 많아 환율이 오르면 단기적으로는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면서도 "다만 장기적으로 해외에서 들여오는 웨이퍼나 원자재 가격이 오르는 건 문제이고, 상호관세까지 부과되면 현지 수주에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