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힘에서 '반(反)이재명'을 공통 분모로 보수·중도 주자들이 후보 연대 또는 단일화를 도모하자는 '제3지대 빅텐트론'에 시동이 걸리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치러지는 조기 대선 국면에서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달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예비후보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정당과 진영을 막론한 세력의 결집이 필요하다는 취지다.지난 주말 사이 중도층에 소구력이 있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경선 대열에서 이탈하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출마 일성으로 '반명 보수 빅텐트'를 제안하는 상황 등이 겹쳐 논의가 더욱 탄력을 받는 양상이다.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전 대표와도 손을 잡을 수 있다는 흐름이다.국민의힘 지도부도 연일 '반명' 기치를 선명히 하고 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15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대선 경선과 관련해 "대한민국을 무한 정쟁과 분열로 몰아갈 이재명 세력을 극복해야 한다"며 "우리 안에 많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번만큼은 공통의 사명"이라고 언급했다.당내 경선이 본격화되는 시점에 외부 주자 영입론을 직접 거론하는 것에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사실상 '반명 연합 전선'이 필요하다는 점에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다만 주자들 사이에서는 이같은 빅텐트 논의의 시점 내지 범위 등 각론을 놓고 온도 차가 감지된다. 총론에서는 반명 빅텐트에 동의하면서도 결국 이 전 대표에 맞설 최후의 대항마로 본인을 설정해놓고 있기 때문에 반명 연대의 각론을 놓고 주도권 신경전이 벌어지는 모습이다.홍 전 시장은 이날도 SBS 라디오에 출연해 "개혁신당뿐 아니라 민주당의 반이재명 세력도 같이해야 (이재명 예비후보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 당 후보가 탄생하면 그 사람을 중심으로 반이재명 연대를 만들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선거에 이기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이 필요하다"며 경선 불참을 선언한 유 전 의원에 대해서도 "이재명을 이기기 위해서는 어떤 경우든 힘을 합쳐야 한다"고 거듭 밝혔다. 다만 "경선 기간인데 당의 경선이 좀 어렵게 되는 측면이 있다"며 "당내 경선이 끝나고 그때 가서 판단할 문제고 경선이 컨벤션 효과 때문에 상당한 정도로 부흥, 성공해야 한다"고 말했다.한동훈 전 대표는 CBS 라디오에서 "원칙적으로 보수 진영의 많은 분과 연대해야 한다"면서도 "그런데 우리 당의 경선 자체를 희화화하는 방식의 (단일화 등 연대를) 전제하는 거라면 찬성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YTN 라디오에서 "이길 수 있는 후보를 찾는 게 당연한 것"이라고 말했다.그러나 대선까지 49일을 남겨 놓고 물리적 시간이 부족해 '반명 빅텐트'를 성사시키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또 '제3지대' 인물을 거론하는 것이 결국 당내 인물 부재론을 부채질하며 경선 흥행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일부 주자 측에서는 특히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무소속 출마 가능성과 맞물려 제기되는 빅텐트론에 불쾌감도 드러냈다.  '범보수 빅텐트' 대상으로 거론되는 개혁신당 이준석 예비후보는 이날 "선거 때마다 나오는 빅텐트론에 전혀 관심이 없다"며 대선 완주 의사를 재확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