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경주시가 대대적인 환경정비에 나서고 있으나 정작 무단 투기된 폐기물로 인해 발암물질인 수은, 카드뮴이 검출됐음에도 즉각 대응에 나서지 않아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친환경 벼 재배 단지가 조성돼 있는 경주시 서면 도리 전 130 일대에 수백톤의 폐기물을 원정 투기한 영천 소재 영농법인회사가 경찰에 고발 조치됐다.이들은 지난해 12월 버섯재배를 목적으로 허가를 받은 뒤 실제로는 폐기물 불법 매립장소로 이용했다. 2개월 간 이들이 매립한 폐기물은 800여톤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보다 더 많은 양의 폐기물이 매립돼 있을 가능성도 크다.주민들은 집중호우로 많은 양의 침출수가 유출될 경우 인근 농경지 오염 피해가 우려된다며 즉각적인 원상 복구 명령이 필요하다고 촉구하고 있다.서면 도리2리 김원표 이장은 “일상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악취로 고통받고 있다”며 “형산강 발원지인 이곳에서 침출수가 유출된다면 경주시는 물론 인근 지역까지 환경적 피해는 더욱 확산될 것”이라고 했다.김 이장은 “차수막도 보강돼야 하는데 아직 진행되는 부분은 없다”며 “앞으로 국지성 호우가 잦아질 경우 침출수 피해가 더 걱정된다”고 호소했다. 실제로 시 환경정책과에서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에 의뢰한 시료 분석결과 수은(0.0089)과 카드뮴(0.006)이 각각 검출돼 물환경보존법 제15조 배출 등의 금지 혐의로 경찰에 고발 조치했다.폐기물 매립과 함께 이들은 굴참나무와 소나무 등 4400㎡의 산림도 불법 훼손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경주시는 해당 법인회사를 대상으로 행정조치는 물론 양벌규정에 따라 폐기물관리법 위반과 개발행위 위반, 산지관리법 위반, 물환경보존법 위반 등의 내용으로 모두 5건을 고발 조치했다.무엇보다 폐기물로 인한 침출수가 인근 농경지로 유입돼 수질 오염의 우려가 가중되는 것에 대해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이에 대해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차수막 등의 시설을 설치해 침출수 유출을 차단하는 등 현장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며 “해당 사업주에게 사용한 물량을 전량 적정 처리하도록 지속적인 조치 명령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현장 복구작업 등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주민들의 요구에 대해서는 “(폐기물이)빨리 치워졌으면 좋겠다는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해 검토하고 있다”며 “이후 처리가 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 고발 등의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답했다. 시의회 경제산업위원회 정종문 위원장은 “다음주 월요일 상임위를 열어 도리마을 현장 복구 등의 사안을 의원들과 함께 공유해 조속히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정 위원장은 “인체에 치명적인 발암물질이 검출된 이상 안전을 최우선으로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