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시의회 건물 재건축을 두고 이를 강행하려고 하는 의회와 시민들간 의견이 엇갈려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시의회에 따르면 현 의회청사는 1968년 건축돼 지금까지 몇 번의 개보수를 했지만 2018년 정밀안전진단 및 안정성 평가에서 D등급(지진 발생 시 부분 또는 전면 붕괴 발생 가능)을 받아 부득이하게 신청사 건립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한 2019년부터 계획된 ‘문경시의회 복합청사 건립에 대한 설계용역’에 이미 20억 원 정도의 사업비가 지급된 상태이고 전체 예산 규모는 260억 원이 책정됐다. 만약 현재 사업을 취소한다면 위약금과 새로운 사업 추진에 따른 비용과 시간 등 많은 예산 낭비를 초래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정걸 시의장은 “노후 된 의회 건물은 안전성이 심히 위급하고 재건축으로 현재 이 건물에 입주해 있는 점촌2동사무소, YMCA, 바르게살기문경시협의회, 평통(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등 여타 단체에게도 공간 부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신축건물의 설계용역 등이 상당히 진행 된 상태라 되 돌릴 수 없는 실정”이라며 “시민들의 협조가 요망된다”고 말했다.그러나 시민들의 반응은 이와 엇갈리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의회가 차지하고 있는 현재 부지는 약 3000여 평으로 중앙공원과 인근 학교 및 중앙시장 등 모든 조건이 잘 갖춰진 주택지다. 문경시의회 의원 10명이 독점하기 보다 수천 명 시민들의 거주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또한 문경시는 주택 보급률이 100%가 넘지만 젊은 세대들이 선호하는 최신형 아파트는 턱 없이 부족하고 낡고 노후된 재래식 주택이 많아 수치상의 보급률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지난해 8월 무더위에도 의회 신청사 건립 반대 1인 시위를 했던 A씨는 "인근 상주시 함창읍(문경시청에서 불과 4Km 거리)에는 1군 대기업 건설회사가 고급아파트를 건축 추진 중에 있고 문경시청에서 불과 4Km 거리"라며 "상주시와 함창은 25Km 거리로 이는 누가 봐도 문경시민들을 겨냥한 아파트 건축"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인구소멸 위기로 문경시 인구가 줄어드는 판에 인근 상주시는 문경시청 턱 앞에 고급아파트를 지어 문경시민 이주를 유도하는 현실에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1인 시위에 동참했던 시민 B씨는 "문경시가 포내지구와 공평지구에 택지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변명을 하지만 시민들이 생활하기에는 지리적 접근성이나 학군, 시장 등 생활에 상주시 함창읍의 고급아파트에 비해 선호도가 많이 떨어진다"며 "시민들의 니즈에 타당한 주택보급에 신경써야한다"고 지적했다.
 
또 "의회부지에 주상복합 고층아파트 단지를 만들어 의회와 일부 관공서도 입주하고 인근 도시인구가 문경으로 흡인되는 요인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봉종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