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규 채용 규모는 7개 분기 연속 줄어들었고 비자발적 실직자 수는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초단시간 임금근로자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고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중은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졌다.한국경영자총협회는 28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최근 고용 흐름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채용시장 한파 심화,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 초단시간 일자리 증가, 자영업 감소와 구조 변화 등을 주요 특징으로 꼽았다.먼저 신규 채용으로 분류되는 근속 3개월 미만 임금근로자 수는 2023년 1분기(2만3000명↑) 이후 7분기 연속 감소했다. 2023년 2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14만9000명이 줄어들었고 같은 해 3분기에는 10만8000명, 4분기에는 7000명이 각각 감소했다. 작년에는 1분기 11만4000명, 2분기 11만8000명, 3분기 8만2000명, 4분기 12만2000명 등 전 분기에서 감소했다.이에 따라 졸업을 연기하거나 양질의 일자리가 아니면 취업하지 않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신규 대졸자는 19만5000명으로 2020년 이래 가장 적었고 학사학위 취득 유예생(1만8000명)은 2021년 이후 가장 많았다. 또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3만6000명)보다 취업준비자(4만9000명)가 더 많았다. 이에 대해 경총은 양질의 일자리 선호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해고나 권고사직,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비자발적 실직자는 지난해 137만3000명으로 전년 대비 8.4% 증가했다. 코로나19 시기였던 2020년(47만7000명↑) 이후 4년 만의 증가세 전환이다. 2021년(11만3000명↓), 2022년(39만6000명↓), 2023년(3만2000명↓)에는 3년 연속 감소했다. 업종별로 건설업(3만9000명↑)과 부동산업(9000명↑)에서 건설 불황 여파로 인한 비자발적 실직자 증가가 두드러졌다. 특히 건설업은 올해 1월 실업급여 지급액이 전년 동월 대비 304억원 증가하기도 했다.주 15시간 미만 일하는 초단시간 일자리는 지난해 140만6000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96만6000명)보다 44만명 증가한 수준으로, 2014년(59만4000명)과 비교하면 약 80만명 늘어났다. 다만 초단시간 근로자 중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근로자는 13.5%에 그쳤고 작년 증가분 69.7%(10만명)는 기혼 여성으로 나타났다.경총은 "초단시간 근로를 '불완전 취업자'가 선택했다기보다는 개인 여건에 따라 단시간 근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며 "52시간 규제나 주휴수당 부담으로 기업의 단시간 일자리 수요 확대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국내 전체 취업자에서 자영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19.8%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20%를 하회했다. 도소매 업종은 4만8000명 감소했으나 정보통신(1만6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6000명↑) 등 신산업에서 자영업자 증가가 눈에 띄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40대 자영업자가 각각 3만5000명, 1만2000명 감소한 데 반해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2만3000명 증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