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통신사 SK텔레콤에서 일어난 가입자 유심(USIM) 정보 탈취 사건이 사회적 불안 사태로 번지고 있다. SK텔레콤 망 사용 알뜰폰까지 가입자 2500만명, 즉 전 국민 절반이 쓰는 통신사에서 주요 서버에 해킹이 일어난 것이 최초 감지되고 열흘 가까이 지나고 있지만 아직도 정확한 피해자 규모부터 유출 경로 등 대부분이 오리무중인 탓에 불안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여기에 이 회사가 희망자 전원 유심 교체라는 특단의 조치를 꺼낸 뒤 이행 과정 초기 현장 혼란을 막지 못하면서 가입자 불만은 커지고 있다. 정부는 이 사건에 대한 조사 결과가 한두 달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최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결과를 내는 것이 사회 혼돈 확산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꼽힌다.2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전국 2600여곳의 T월드 매장에서 유심 무료 교체를 시작했다. 이른 아침부터 유심 교체를 위해 긴 대기 줄이 늘어서면서 교체 서비스가 시작되고 몇시간 지나지 않아 유심 재고가 모두 소진된 매장들이 속속 등장했다. 대기자들은 분통을 터트리며 발길을 돌리기도 했다.SK텔레콤이 이달 준비 물량으로 밝힌 유심이 100만개, 다음 달은 500만개에 그쳐 당분간 유심 '품귀' 현상은 지속될 전망이다. SK텔레콤 직영점이 아닌 일부 유통점에서는 신규 개통용 유심을 확보할 목적으로 유심 교체 신청을 받지 않는 등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도 소비자들의 지탄을 샀다. SK텔레콤이 현장에 직접 가서 신청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며 이날 오전 8시 30분부터 개통한 온라인 유심 교체 예약 서비스도 이용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오후 시간대까지 접속 지연이 이어졌다. 한 이용자는 "유심 예약을 하려면 T월드에서 인증번호를 받아야 하는데 문자가 안 온다"며 답답해했다.매장에 방문하기 어렵거나 온라인을 통한 교체 예약이 힘든 고령층 등을 대상으로 '유심 교체 안내 메시지' 등의 제목으로 SK텔레콤 공지를 빙자한 피싱 문자도 횡행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사태 파장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SK텔레콤은 이날 오전 유영상 대표 등이 참가한 가운데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침해 사고 관련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무상 유심 교체 서비스와 함께 소프트웨어 초기화 방식을 도입하겠다는 방침도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심을 교체하지 않아도 개인정보 유출을 막는 효과가 동일하다는 설명이 있었다. 
 
SK텔레콤 측은 이날 설명회에 대해 "구성원 대상으로 아직 외부에 공개하기 어려운 기술 검토 사항이나 향후 계획 등을 설명한 자리였다"고 했다.